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면세점 세금이 없는 이유, 면세점의 시작

by 인생조각가(다비드) 2023. 10. 11.
반응형

외국으로 출국할 때 들리지 않으면 손해인 것 같은 상점이 있죠? 바로 면세점입니다. 면세점에서는 세금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품을 싸게 살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면세점은 왜 세금이 없는걸까요? 이제부터 면세점이 세금이 없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mage by  マサコ アーント  from  Pixabay

 

1. 면세점이란?

물건에 세금을 붙이지 않고 판매하는 상점을 면세점이라고 합니다. 세금을 붙이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가격이 저렴하죠. 이렇게 산 제품을 면세품이라고 합니다. 기본적인 판매 방식은 비슷하지만 물건 값에 세금이 붙지 않는다는 것도 출국 예정자만 구매 가능하고 구매 한도가 있다는 점이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2.  면세한도

우리나라는 2022년 9월 6일부터 미화 800달러 입니다. (이전에는 600달러)

 

3. 면세의 이유 및 역사

최조의 면세점은 아일랜드의 브랜든 오리건이 1947년 내년 공항에 만든 면세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면세점은 지금까지도 존재합니다. 당시에는 북미에서 유럽으로 오는 항공기들이 거리 관계로 급유를 위해 새넌 고항에 중도 착륙하곤 했는데, 이렇게 스타오버를 하는 승객이 50만 명에 달했습니다. 이를 본 오리건은 이미 외국에서 출국 수속을 마친 승객들이 환승을 위해 아일랜드에 입국하지 않은 채 맞이방에서 무료하게 시간이나 축이고 있는 것을 보고, 이미 다른 나라를 떠나 출국을 완료했고, 다른 나라에 입국도 하지 않은 저 상태에서 물건을 사게 된다면 어디에 세금을 내야 하지?라는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고, 만약 뭔가를 사게 된다면, 이미 떠나 버린 나라나 아직 입국도 하지 않은 나라 모두 세금을 내는 것은 부당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결국 오리건은 이 면세점 사업이 엄청난 노다지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고, 이를 아일랜드 정부를 설득하는데 까지 이르게 됩니다. 결국 기내에서 물론 공항 출발 승객과 환승객이 공항에서 물품ㅇ르 구입할 때에도 인발 관세를 면제받게 됩니다.

 

이후 1960년 미국의 찰스 피니와 로버트 밀러가 면세점 사업이 엄청난 수익을 가져다 주는 것을 알고, 창업을 하게 되며, 그리하여 DFS가 현재 세계 면세점 시장에서 1위를 달리게 됩니다. 결국 북미에만 존재하던 면세점이 전 세계로 뻗어 나가게 된 것입니다.

 

4. 추가적인 궁금증 문의

전화문의: 기획재정부 세제실 관세제도과(044-215-4410)

기획재정부 바로가기

 

반응형